저희조가 기업 분석으 하기로한 산업 카테고리는 카셰어링입니다.
성공한 앱 서비스_ 쏘카(SOCAR)
- 해당 프로덕트의 비즈니스 요약
한국의 대표적인 카셰어링 서비스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10분 딘위로 원하는 만큼 원하는 차량을 대여할 수 있는 단기 셰어링과 월 단위로 차량을 대여하는 기간제 대여 서비스인 쏘카 플랜이 있습니다. 또한 플랫폼 주차 서비스(모두의 주차)를 바탕으로 주차장 정보 안내, 주차제휴, 스마트파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레클은 출퇴근 등 일상 이동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고 있는 국내 최고의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입니다.
- 이들이 풀고자 했던 초기 문제, 초기 타겟 고객층 그리고 고객이 이 앱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를 적어보세요
쏘카의 경우, 초반엔 제주도에서 시작한 사업입니다.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상 대중교통이 불편하다보니 현지인들은 모두 차를 가지고 있었고 심지어 한집에 차가 세대씩 있었다고합니다. 즉, 놀고 있던 차들이 많았습니다. 반면, 관광객들의 렌터카 수요는 정말 많았습니다. 이 부분에 집중하였고 카셰어링을 통해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초반에 쏘카는 기존의 렌터카의 틀을 깨고 30분 단위 대여와 24시간 무인 대여/반납 서비스를 구축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쏘카는 2030세대의 니즈를 겨냥한 카셰어링 서비스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였습니다. 쏘카는 면허 보유율이 높지만 자가용 구매율이 낮은 2030세대들이 운전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 금전적인 여유가 부족했다는 부분에 집중하엿습니다. 쏘카는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사업 방향성의 전환으로 시장을 선점할 수 있었습니다.
고객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고객들이 원하는 시간에 가까운 거리에서 단기 대여를 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차량 구매/유지 비용 없이 필요한 만큼만 사용 가능하고 24시간 예약 가능합니다. 또한 다양한 차종을 경험해볼 수 있고 도심 곳곳에서 차량 픽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핸드폰하나로 모든 것을 다 해결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큰 강점으로 생각됩니다.
- 그들이 문제를 풀기 위해 마련한 초기 솔루션과 수익모델을 정리해보세요.
초기 솔루션의 경우, 모바일 기반 차량 예약 및 대여 서비스이고 자동차 키가 따로 없다보니까 비대면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대여와 반납이 지역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하기 위해 아파트, 오피스텔, 주차장에 배치하였고, 짧게 대여를 희망하는 고객들을 위한 30분 대여부터 오래 빌릴 수도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였습니다.
수익 모델의 경우, 차량 이용 시간에 따른 금액과 회원제에 있습니다. 특정 등급 가입 시에 할인과 혜택이 있고 보험과 부가 서비스가 있습니다. 또한 광고 및 브랜드와 제휴하여 특정 브랜드 차량을 프로모션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 성공 요인과 기회 포착 전략
공유경제에 들어서면서 차량 소유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카셰어링 서비스 수요를 확대하였습니다. 기존 렌터카보다 더 직관적이고 간편한 서비스를 제공하였는데 그 방법으로는 모바일&비대면 편의성을 극대화하였고 유동적인 대여/ 반납 시스템으로 수요가 많은 지역에서 차량을 배치하여 접근을 극대화하였습니다. Ai 맟 빅데이터 활용하여 실시간 교통 분석, 맞춤형 이동 경로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차량 제조사, 주차장, 부동산과 협업하여 빠르게 시장에서 성장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확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모든 이동수단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는 시스템인 Maas플랫폼을 구축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 주요 지표
쏘카 시장 점유율 73%-모빌리티 업계 최초의 유니콘 기업
차량 운영 및 유지비에서 매출 대비 35%
보험료 비율 11.7%
매출 4000억 육박
가입자 750만명 이상
영업이익 94억원—22년도 기준
월갈 고유 방문자 수 MUV=156만명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 = 93만 명 =2024기준
쏘카의 MAU는 국내 3개 카셰어링 플랫폼 MAU의 72%정도 차지한다고 합니다. 쏘카 앱의 1인당 이용 시간도 25.0분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7% 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