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본 캠프 10일 차_ Flutter 과제 마무리 및 네트워킹

개발일지27 2025. 3. 14. 21:03

1. 북클럽 시간_ How to Get Your First Customers

  • 우리 서비스에 적절한 요금을 설정해서 고객이 무료체험판이 아닌 요금을 지불하고 사용할수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서비스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는데요. 사용자 입장에서 무료체험판을 사용하다가 유료로 전환했거나, 처음부터 유료로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팀원들과 토론해보고 전환 요소를 우리 아이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정리해보세요.

: 제가 시용했던 서비스는 온라인 서점입니다. 밀리의 서재, 교보문고 등등 여러가지 앱 서비스가 있고 가격대도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이 앱들 중 제가 고민을 했던 부분은 어느 서비스가 가장 책이 많고 빠르게 신작을 읽어볼 수 있을지 여부였습니다. 생각보다 읽고 싶은 책들이 없는 경우가 많았던 경험에서 비롯된 고민이었습니다. 하지만 직접 사용해보기 전까지 하나하나 확인해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료 체험판이 있는 앱 서비스를 먼저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신작은 빠르게 업데이트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지만 읽고 싶었던 책들은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고 그로 인해 유료 버전으로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아직 팀빌딩 초기 단계이기도 해서 명확한 수익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저의 서비스 특성 상 구독 전환율을 높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려동물의 카테고리는 성공적인 유지율이 가장 큰 쟁점으로 보이고 이를 통해 큰 네트워킹이 형성되면서 자연스레 구독을 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더 많은 정보와 다양한 사람과 반려동물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추가적인 사용료 지불을 유도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 창업자는 고객과 지속적으로 대화하며 문제를 식별하고 유료 고객을 유치, 직접 판매하는 방법을(영업)을 배워야한다고하는데요. 고객과의 대화 경험이 적은 초기 창업자, 내향성이 강한 초기 창업자 등은 더욱 고객과의 대화가 어렵게 느껴질수 있습니다. MBTI I인 내향성을 가진 초기 창업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객과의 대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 내향성과 외향성을 가진 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자신이 창업자라면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못하는 것이라면 다른 CEO를 세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고 안하는 것이라면 할려고 노력해서 고객들과의 미팅에서 자신의 제품에 대해 정확히 소개하고 판매할줄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MBTI 가 E지만 다른 사람들 앞에서 애기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하지만 하라면 합니다. 그게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스스로 판단하기 때문에 노력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 Flutter 이론

 

생성자(Constructor)

: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기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메서드

 

 

1) 기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_ 매개변수를 갖지 않는 생성자

 

class Car{

Car();

}

 

 

# 자동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클래스에 따로 명시되지 않아도 됩니다

# 인스턴스 변수들이 모두 초기화되어 있는 상태여야합니다.

 

 

2) 매개변수 생성자 (Parameterized Constructor)_ 매개변수를 통해 외부에서 인스턴스 변수들의 초기값을 설정

 

class Car {
  String name;
  List<String> models;

  Car(this.name, this.models);

  void printModels() {                                   //인스턴스 메서드
    print(models);
  }
}

void main() {
  Car car = Car('BMW', ['M1', 'M2', 'M3']);   //객체를 생성할 때 매개변수를 넣지 않으면 오류 발생
  car.printModels();                                             //객체 생성
}

 

 

 

-> 하나의 클래스로 여러 객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된 속성과 동작을 갖는 코드를 여러 번 작동하지 않아도 돼서 재사용성 높은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제네릭 클래스_ 특정 타입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타입에 대해 동일한 코드를 적용할 수 있어 재사용성이 높다?- 감이 잘 안온다

 

 

상속 (Inheritance)

: 하나의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물려받는 것(부모/자식 클래스)

 

class Person {
  void eat() {
    print('냠냠 !');
  }
}

class Student extends Person {          //Person: 부모 클래스, Student: 자식 클래스   extends: key word
  void study() {
    print('열공 !');
  }
}

 

  •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에게 자신의 모든 속성과 메서드를 상속
  •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에 있는 멤버를 사용할 수 없음
  • super를 통해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음( super==this, 부모 클래스를 가르킨다)
  • 자식 클래스는 상속 받는 속성과 메서드를 재정의하거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음

# 재정의_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로부터 상속 받은 속성과 메서드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덮어 씌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모 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는 속성이나 메서드가 마음에 안 들어서 새로 정의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