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V/LTV (Customer LIfetime Value)
: CLV와 LTV는 용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 두 약어는 모두 기업을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무 비율인 고객 생애 가치를 의미하며, 종종 혼용되어 사용됩니다. 따라서 많은 기업에서 각 용어의 사용은 합의된 선호도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LTV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1. 마케팅 투자 최적화
- LTV가 높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CAC(고객 획득 비용, Customer Acquisition Cost)**와 비교하여 적절한 마케팅 예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고객당 LTV가 100만 원인데 CAC가 80만 원이라면, 고객 확보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
2. 고객 세분화 및 맞춤 전략 수립
- LTV를 기준으로 고객을 고가치 고객(VIP), 일반 고객, 이탈 가능 고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VIP 고객에게는 로열티 프로그램을, 이탈 가능 고객에게는 재구매 유도 할인을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제품 및 서비스 개선
- LTV가 높은 고객군이 선호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분석하여 주력 상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특정 구독형 서비스의 장기 유지 고객이 특정 기능을 자주 활용한다면, 해당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4. 기업 가치 평가 및 투자 유치
- 스타트업이나 SaaS 기업의 경우, LTV는 미래 수익 예측 및 투자 유치의 핵심 지표가 됩니다.
- 높은 LTV를 보유한 기업은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입증할 수 있어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기업이 LTV를 활용하는 방법
- LTV와 CAC 비교 분석
- LTV > CAC가 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을 조정합니다. (예: 광고비 효율화, 고객 유지 전략 강화) ✅ 고객 리텐션(유지율) 향상
- 리워드 프로그램, 개인화 마케팅, 고객 경험 개선 등을 통해 LTV를 높입니다.
- 가격 전략 최적화
- 프리미엄 고객에게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거나, 구독 모델을 활용해 고객당 매출을 극대화합니다.
퍼널 (Funnel)
: 퍼널(Funnel)은 깔때기를 뜻하는 영어 단어로,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잠재 고객이 구매로 이어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모델을 의미합니다.
퍼널의 특징
- 퍼널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퍼널의 각 단계를 지날수록 사용자의 수가 점차 줄어듭니다
- 퍼널은 마케팅 깔때기 전략으로도 불립니다.
퍼널 분석
- 퍼널 분석은 웹사이트에서 특정 결과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단계와, 각 단계를 통과하는 사용자 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 퍼널 분석을 통해 서비스의 병목 구간을 알 수 있고, 이를 개선하여 최종 전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퍼널 분석을 할 때은 이탈률이 가장 높은 구간을 먼저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객이 구매 또는 가입을 망설이는 이유를 분석하여 UI/UX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이를 바탕으로 고효율 채널에 예산을 집중 투자하거나, VIP 고객을 위한 맞춤형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퍼널을 활용하는 방법
퍼널 단계별 이탈 분석
- 방문 -> 관심 -> 고려 -> 구매 과정에서 고객이 어디에서 이탈하는지 분석하고 개선합니다. (A/B테스트 및 최적화)
- 버튼 색상, 문구, 할인 혜택등을 테스트하여 전환율을 최적화합니다 (리타켓팅 마케팅 실행)
- 장바구니를 이탈한 고객에게 리마인드 이메일을 보내거나, 관심 상품을 다시 보여주는 광고를 진행합니다(고객 맞춤형 콘텐츠 제공)
- SaaS기업은 가입 후 7일 동안 필수 가능 활용 가이드를 제공하여 유료 전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로스 해킹 (Growth Hacking)_ 성장을 위한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방법
: 그로스 해킹은 빠르고 효율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는 마케팅 제품 전략입니다.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적은 비용으로 높은 성장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접근 방식이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실험과 최적화를 통해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그로스 해킹이 기업에게 중요한 이유
1. 빠른 시장 적응 및 성장 가능
- 기존의 전통적인 마케팅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 그로스 해킹은 신속한 실험과 피드백 루프를 통해 빠르게 성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Airbnb는 크레이그리스트(Craigslist)와의 연계를 통해 빠르게 사용자 기반을 확장했습니다.
2. 마케팅 비용 절감 및 ROI 극대화
- 광고비를 많이 쓰지 않고도 바이럴(입소문) 효과나 **제품 내 성장 요소(예: 추천 시스템, 보상 프로그램)**를 활용하여 비용 대비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Dropbox는 친구를 초대하면 추가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수를 급격히 증가시켰습니다.
3.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가능
- A/B 테스트, 고객 행동 분석, 전환율 최적화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이메일 제목을 여러 가지로 실험하여 가장 높은 클릭률을 보이는 문구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4. 제품 자체가 성장의 도구가 됨
- 제품 자체에 그로스 메커니즘을 내재화하면 별도의 마케팅 없이도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TikTok은 사용자가 영상을 공유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앱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기업이 그로스 해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
✅ 사용자 확보 비용 절감
- 바이럴 마케팅, SEO 최적화, 리퍼럴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유료 광고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고객 전환율 및 유지율 개선
- 온보딩 최적화, 이탈 방지 전략, 개인화된 리마인드 메시지 등을 활용하여 장기적인 고객 관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제품 및 서비스 최적화
- 지속적인 A/B 테스트와 고객 피드백을 반영하여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매출 성장과 브랜드 확장
- 구독 모델, 프리미엄 서비스 업셀링,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 (Retention)_특정 기간 동안 고객이나 사용자가 제품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비율
: 기업의 장시적인 성장과 수익성 확보에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단순히 새로운 고객을 유지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며,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리텐션이 기업에게 중요한 이유
1. 고객 획득 비용(CAC) 절감
-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5~25배 더 저렴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즉, 리텐션이 높을수록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LTV(고객 생애 가치) 극대화
- 높은 리텐션율을 유지하면 고객이 더 오래 머물며 반복 구매를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LTV가 증가합니다.
-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추천 알고리즘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구독 해지를 최소화합니다.
3. 바이럴 효과 및 브랜드 충성도 상승
- 만족도가 높은 기존 고객은 자연스럽게 **입소문 마케팅(Word of Mouth)**을 일으켜 신규 고객 유입을 촉진합니다.
- 예를 들어, 애플 제품을 꾸준히 사용하는 고객은 브랜드 충성도가 높고 주변 사람들에게 제품을 추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수익 예측 가능성 증가
- 리텐션율이 높으면 **월간 반복 매출(MRR, Monthly Recurring Revenue)**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적인 수익 예측이 가능합니다.
- 특히 SaaS, 이커머스, 구독 모델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업이 리텐션을 높이는 방법
퍼스널라이제이션(개인화) 전략
-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추천, 이메일, 푸시 알림을 제공하여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합니다.
- 예: 아마존의 개인 맞춤형 추천 시스템
사용자 경험(UX) 및 온보딩 최적화
- 신규 고객이 제품을 쉽게 이해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온보딩 프로세스를 최적화합니다.
- 예: 핀터레스트는 첫 가입 후 초기 관심사를 설정하는 가이드를 제공하여 리텐션을 높임.
로열티 프로그램 및 인센티브 제공
- 포인트, 멤버십, 구독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하여 고객이 계속해서 브랜드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합니다.
- 예: 스타벅스 리워드 프로그램
그로스 해킹 기법 적용
- 데이터를 기반으로 A/B 테스트, 리타겟팅 광고, 리퍼럴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리텐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 마케팅 비용 절감, 고객 충성도 강화,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
- 조건문
조건문은 프로그램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만 특정 코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문장입니다.
조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정말 많이 사용하게 되는 중요한 문법입니다.
if문과 switch문이 있습니다.
if(조건비교){
참인 경우 실행될 로직
}else {
위 조건이 거짓일 경우 실행될 로직
}
switch(확인할 변수){
case [확인할 변수에 해당되는 값] : //case뒤에 ; ->: 주의
실행로직
break;
case[확인할 변수에 해당되는 값] :
실행로직
break;
case[확인할 변수에 해당되는 값] :
실행로직
break;
default:
모든 case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실행 로직;
}
-->switch 문 사용하는 경우
- 조건이 특정 값(상수)과 비교될 때
-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싶을 때
- enum타입과 같은 열거형을 비교할 때 -열거형의 경우 IDE에서 자동으로 모든 CASE를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퀘스트(1)
import 'dart:io';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void main() {
print("점수를 입력하세요:");
int score = int.parse(stdin.readLineSync()!);
if (score >= 90) {
print("A학점");
} else if (score >= 80) {
print("B학점");
} else if (score >= 70) {
print("C학점");
} else if (score >= 60) {
print("D학점");
} else {
print("F학점");
}
}
▶퀘스트(2)
import 'dart:io';
void main() {
print("요일을 입력하세요:");
String day = stdin.readLineSync()!;
switch (day) {
case "월요일":
print("한 주의 시작! 힘내세요");
break;
case "금요일":
print("주말이 곧 옵니다!");
break;
case "토요일":
case "일요일":
print("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break;
default:
print("평범한 하루입니다.");
}
}
▶결론_ 그로스 해킹이 아직 낯선 개념이어서 이해하는 게 쉽지 않았지만 조금씩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Flutter에 대한 이론공부 외에도 창업 tutor님, 팀원들과 소통하면서 궁금했던 부분과 여러 사람들의 고민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