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전 캠프 8일차 - 창업 관련 개념 이해/Flutter 이론 학습 및 퀘스트

개발일지27 2025. 2. 19. 17:54

 

린스타트(Lean Startup)업 개념 이해

1. 린스타트업(Lean Startup)

: 린스타트업은 최소한의 비용과 자원으로 빠르게 제품을 출시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선해 나가는 창업 방법론입니다. 

 

2. 린스타트업의 핵심 원칙

 

 Build - Measure - Learn 사이클

: 린스타트업은 빠르게 제품을 만들고, 시장 반응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우는 반복 과정을 강조합니다.

 

  • Build(구축)

최소 기능 제품(MVP)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합니다. 여기서 핵심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기능만 테스트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형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easure(측정)

사용자 반응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품의 가설을 검증합니다.

MVP출시 후 사용자의 실제 반응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Learn(학습)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선할 점을 도출하고, 제품 방향을 조정합니다.

 

-> 위 과정들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제품을 개선해 나갑니다.

린스타트업의 경우, 전통적인 창업 방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창업의 속도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창업 방식의 경우 완성품을 출시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완성품이다보니 실패하였을 때 수정하고 보완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듭니다. 그에 반해 린스타트업의 경우 MVP를 통해 빠르게 시장에 진출시키고, 사용자의 반응을 살펴서 수정하고 보완해야할 부분은 그 즉시 반영할 수 있고, 완성품이 아닌 초기 모델이기 때문에 실패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반응을 통해 초기 가설이 틀렸다고 판단되면, 방향을 바꿀수도 있습니다.

 

핵심 기능만을 구현하여 가설을 검증한다는 점이 흥미로웠고, 경험이 없는 초기 창업자들도 빠르게 데이터를 쌓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결국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할만한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창업의 목표이고 그에 빠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경험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전 과제>

 

Q1. 본인이 생각하는 창업 아이디어를 간단히 설명해보세요.

 

ANS: 제 창업 아이디어는 반려동물 케어 & 커뮤니티 앱 입니다.

반려동물의 건강, 산책, 미용, 병원 정보 등을 관리하는 앱으로 처음 반려동물을 키우기 시작한 사람들에게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또한 성장일지 형식으로 반려동물의 성장을 기록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하고 싶습니다. 

 

Q2. 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만들 수 있는 MVP는 무엇인지, 왜 그렇게 생각하였는지

 

ANS: 우선 핵심 기능을 포함하는 MVP를 만들어야 합니다

  • 반려 동물 건강 관리- 사용자들이 건강 기록을 쉽게 남길 수 있는 기능
  • 커뮤니티 기능- 반려인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SNS처럼 댓글/ 좋아요 가능)
  • 수의사 상담(채팅 기반) - 간단한 질문을 전문가에게 문의할 수 있는 기능
  • GPS기반 산책 추천 - 반려동물 산책로 정보를 제공

빠르게 가설을 검증 받기 위해 주요 기능을 포함하는 모델을 구현합니다. 앱을 직접 만들수도 있고 AI를 통해 코딩없이 빠르게 서비스를 구축합니다. 

 

Q3. 사용자의 반응을 측정할 방법은 무엇인가요.그리고 그 방법을 선택했을 때 장점과 단점을 작성해주세요.

 

ANS:

1) 반려동물 건강 관리

:반려동물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SNS커뮤니티에서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여 분석하고 반려동물 관련 정보 블로그/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며 구독자의 반응을 확인합니다.

 

2) 수의사 상담

: MVP로 간단한 채팅 기반 무료 수의사 상담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측정합니다.

  SNS나 블로그에서 "온라인 수의사 상담" 무료 이벤트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수의사 입장에서도 온라인 상담이 유용한지 검토합니다.

 

3) GPS 기반 산책 추천

: 여러가지 홍보 매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합니다. (블로그/ 인스타그램)

  간단한 웹페이지 또는 노션 페이지를 만들어 "추천 산책로" 목록을 제공 후 트래픽 및 피드백을 분석합니다.

   GPS기반 산책 기록 기능이 포함된 기존 앱을 참고하여 유사한 기능을 사용자가 어떻게 활요하는지 조사합니다.

 

이런식으로 검증하는 이유

  • 시간과 비용 절감 : 완전합 앱 개발 전에 가장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 실제 사용자 기반 의사결정: 감이 아닌 데이터로 판단 가능합니다.
  • 초기 사용자 확보: 자연스럽게 앱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점

  • 초기에 충성도 높은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워낙 반려동물 관련 앱 시장은 경쟁이 많습니다.
  • MVP에서는 보통 무료로 제공하지만, 실제로 돈을 낼 의사가 있는지 검증이 어렵습니다.
  • 수익 모델이 불확실합니다.
  • 핵심기능인 GPS , 실시간 채팅과 같은 주요 기능은 초기 비용이 많이 듭니다.

Q4. 어떤 기준으로 피봇 여부를 결절할 수 있을까요

 

ANS:

우선 주요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DAU(일간 활성 사용자 수) - 일일 방문자가 1,000명 미만이라면 관심이 낮을 가능성

WAU(주간 활성 사용자 수) - 지속적인 방문율이 낮다면 유지율 문제

사용자 유지율 - 30일 유지율 20%이하면 사용자가 앱을 계속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

사용자당 평균 세션 시간 - 1~2분 이내면 흥미도가 낮음

기능별 클릭률 및 사용률 - 특정기능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면 제거

 

사용자 피드백 분석

: 설문조사와 커뮤니티 및 SNS의견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과 현재 제공하는 기능이 같은지 확인

 

경쟁 앱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가

: 새로운 기술, 차별화 포인트를 두어서 경쟁력을 높여야 합니다.

 

 

<Flutter 이론학습>

동기 (Synchronous)

: 동기 방식에서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진행이 되는 것입니다.

 

void main() {
  print('작업 1 시작');
  performTask();
  print('작업 1 완료');
}

void performTask() {
  print('작업 2 실행');
}

 

<출력> 

작업 1 시작
작업 2 실행
작업 1 완료

 

->동기 방식은 요청을 보내고 응답이 돌아와야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이 블로킹됩니다.

특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 있을 경우 전체 프로그램의 응답성이 저하됩니다.

 

비동기 (Asynchronous)

: 비동기 방식에서는 작업이 병렬적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즉,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름 작업을 바로 시작합니다. 주로 네트워크 요청, 파일 읽기/쓰기 등 시간이 걸리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ex)void main() {
  print('작업 1 시작');
  performTask();                       //performTask는 비동기로 처리가 되어서 이 작업의 수행이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간다
  print('작업 1 완료');
}

Future<void> performTask() async {
  await Future.delayed(Duration(seconds: 2));         // 2초 딜레이 
  print('작업 2 실행');
}

 

출력>작업 1 시작
작업 1 완료
작업 2 실행

 

-> 코드가 복잡할 수 있고 비동기 함수의 오류 처리가 힘듭니다. 비동기 코드의 흐름을 추적하고 디버깅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async/await: 비동기 상황을 동기처럼 처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할 때 발생합니다. async 키워드

  • 함수에 async를 붙이면 비동기 함수가 됩니다.
  • 비동기 함수는 항상 Future 객체를 반환되도록 설계 되어있습니다.

await 키워드

  • await 비동기 함수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await은 Future가 완료될때까지 기다리며 완료되면 결과 값을 반환합니다.
  • await은 비동기 코드를 동기 코드처럼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void main() async{
  print('작업 1 시작');
  await performTask();            //비동기식이지만 동기식으로 작동
  print('작업 1 완료');
}

Future<void> performTask() async {
  await Future.delayed(Duration(seconds: 2));
  print('작업 2 실행');
}

<출력>                      await을 뺀 경우

작업 1 시작                작업 1 시작
작업 2 실행                작업 1 완료
작업 1 완료                작업 2 실

 

  <퀘스트>반복문1) for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void main() {
  for (int i = 1; i <= 10; i++) {
    print(" 반복 횟수: $i");
  }
}

 

출력> 

 반복 횟수: 1
 반복 횟수: 2
 반복 횟수: 3
 반복 횟수: 4
 반복 횟수: 5
 반복 횟수: 6
 반복 횟수: 7
 반복 횟수: 8
 반복 횟수: 9
 반복 횟수: 10

 

2) while 문을 작성하여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void main() {
  int i = 1;
  int sum = 0;            //0을 선언하는 것과 초기화하는 것의 차이가 다소 어려움

  while (i <= 100) {
    print("합: $sum");
    sum += i;
    i++;
  }
}

 

 

3) do-while 문을 사용하여 비밀번호 "1234"를 입력할 때까지 계속 입력받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mport 'dart:io';


void main() {
  String password = "";
  
  do{
    print("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password = stdin.readLineSync()!;
  }while(password !="1234");   // != 의 뜻: 동등하지 않다 -관계 연산
  print("비밀번호가 맞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