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클럽_How To Find Product Market Fit
- 무료 버전에서 유료 버전으로 전환할 때 고려해야할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요?
: 일단 무료와 유료의 차별점에 대해 정의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사용자가 기꺼이 지불할만한 기능이나 혜택이 무억인지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무료 사용자가 불편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자연스럽게 "업그레이드"를 원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가격 모델 및 결제 전략이 있습니다. 너무 비싸면 유저가 이탈하고 , 너무 싸면 수익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세 번째는 전환의 최적화입니다. 어느 타이밍에 유료 기능이 필요한지 알아야 합니다. 정확한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서 전환율 테스트는 필요한 것 같습니다.
네 번째는 사용자 경험(UX)와 유지율(retention)관리입니다. 유료 가입이 복잡하면 이탈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간편한 결제 시스템으로 쉽고 빠르게 결제하도록 유도합니다.
다섯 번째로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있습니다. 사용자 리뷰를 활용하고 실제 사례를 공유하며 커뮤니케이션합니다. 커뮤니티와 SNS를 활용하여 마케팅합니다.
-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은 초기 가입자 수 보다, 재 이용률, NPS, 유료 고객 갱신율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가입자 수만 많아도 비즈니스가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 가입자는 허수일 가능성이 높아서 가입자수를 늘리는 것보다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머무는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텐션이 높아야 비즈니스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이는 CAC(고객 획득 비용)를 회수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가 서비스의 가치를 충분히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 입니다. NPS(Net Promoter Score, 순추천지수)는 고객이 제품을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수치로 표현한 것 입니다. 높을수록 사용자가 만족하며, 자발적으로 입소문을 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유료 고객 갱신률의 경우, 지속적으로 결제를 유지하는 고객이 많아야 LTV(Lifetome Value, 고객 생애 가치)가 증가합니다.
1000명의 가입자보다 100명의 충성 고객이 중요합니다. 결국 좋은 제품과 강한 사용자 충성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