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

본 캠프 13일 차_

1. 북클럽_Tips For Technical Startup Founders기술 창업자는 초기에 모든 기술 작업을 혼자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이렇듯 스타트업의 개발자(기술 창업자)는 큰 기업의 개발자와 어떻게 달라야 할까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모든 과정에 참여한다는 부분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대기업 개발자의 경우 특정 부분에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술 창업자의 경우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브옵스, 웹사이트, UX, 심지어 Google 계정을 설정하는 IT 작업까지 모두 해야 합니다.  스타트업의 특성상 빠른 행동과 이동을 중시하고 불완전한 정보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이는 모든 기술에 참여함으로써 사용자와 대화하여 빠른 피드백을 바탕으로 수정하고 보완해내야 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19

본 캠프 12일 차_Flutter 과제 도전 및 네트워킹

1. 북클럽_The Best Way To Launch Your Startup스타트업이 초기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출시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각각의 전략이 제공하는 장점과 특징은 무엇인가요?1)조용한 런팅(상세페이지 만들기_도메인 이름/회사 이름/짧은 설명/콜 투 액션)_간단한 상세 페이지를 통해 콜 투 액션 유도2)친구와 가족에게_단 너무 오래 머물지 마라/이상적인 사용자가 아닐 수 있다3)낯선 사람에게 런칭_객관적인 피드백4)온라인 커뮤니티 런칭_우리의 사업이 속한 커뮤니티에 출시하면서 잠재 고객을 모을 수 있다내가 고민하고 있는 아이템에 대한 소개를 육하원칙을 참고해서 한 문장으로 작성해보세요. 아직 아이템이 없다면, 창업자 자신에 대한 소개를 한 문장으로 만들고 팀원들과 더 좋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3.18

본 캠프 11일 차_Flutter 기초 마무리/ 네트워킹

1. 북클럽_How to Build An MVP완벽하지 않은 제품, MVP에 대해 스타트업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생길수 있는데요. 완벽한 제품을 만드려는 욕구가 MVP 출시를 방해할 경우 생기는 문제가 무엇이 있을까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MVP를 출시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릴 것 입니다. 저도 MVP를 출시하기 전에 설문조사와 커뮤니티에서 대략적인 조사를 해보고 어떤 기능을 필요로 하는지 알 수 있을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오늘 읽은 스크립트에서 고객은 문제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해결하는 방법은 모른다는 말이 가장 와닿았고 많은 사람들을 처음부터 모아야겠다는 안일한 생각을 했었다는 사실을 인지했습니다.Airbnb, Twitch, Stripe와 같은 성공적인..

카테고리 없음 2025.03.17